기흥동 데이터센터 반대 기자회견 모습. /사진=범대위
5월 20일 기흥동 데이터센터 반대 기자회견 모습. /사진=범대위

용인시 기흥동에 추진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두고 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5월 20일 오전 11시, 기흥동·공세동·고매동·보라동 주민들로 구성된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력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범대위 허준태 위원장은 “이번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은 기흥동 일대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 삶의 질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며,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를 위해, 우리가 지켜온 이 마을을 위해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전자파 위험, 환경 오염, 대형 화재 및 폭발 가능성, 도시 미관 훼손, 그리고 시민들의 숙원 사업인 분당선 연장 차질까지, 이 사업이 초래할 문제는 매우 크다”고 강조했다.

사무총장은 개발행위 허가가 2024년 7월 접수된 이후 사업주는 두 차례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지만, 주민들과의 소통이 매우 부족했으며 형식적인 설명회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2차 주민설명회는 갈등 속에 파행되었고, 용인시 도시개발과 역시 향후 소통 결과에 따라 도시계획심의 상정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민들은 이후 5천여 명의 서명을 받아 반대 의견을 전달했고, 거리 시위도 진행하는 등 지속적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날 부위원장은 데이터센터 건립이 초래할 9가지 주요 위험성을 지적했다. 첫 번째는 고압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다. 한국의 전자파 기준이 스웨덴, 스위스, 이탈리아 등 선진국에 비해 최대 200배나 높다는 점을 들어 주민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냉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열섬현상이 심화되고 지역 환경이 파괴될 수 있으며, 디젤 비상발전기와 초대형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비롯될 수 있는 화재 및 폭발 사고 위험도 크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예상되는 배터리 규모는 20만 개에 달하고, 비상용 경유는 60만 리터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용인시 기흥동에 추진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두고 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5월 20일 기흥동 데이터센터 반대 기자회견 모습. /사진=범대위

아울러 데이터센터의 상시 운영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 문제, 도시 경관과의 부조화, 실질적인 고용 창출 효과 부족, 분산에너지 특별법의 취지 위반 등도 주요 문제로 언급됐다. 특히 초대형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막대한 전력은 국가 전력 수급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전력 부족 사태를 유발하고 결국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주민들은 이러한 개발이 편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땅값 상승만을 노린 부당한 개발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허 위원장은 기자회견 말미에 성명서를 통해 “기흥동 데이터센터는 고압선 전자파, 소음·진동, 대기오염, 화재 위험, 도시 미관 훼손, 실질적 고용 효과 부재, 전기세 인상 등 주민 피해만 불러오는 사업”이라며, “용인시는 즉시 이 사업을 철회하고 주민들과의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 동네의 미래와 용인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끝까지 투쟁할 것”이라며, 용인 시민들의 연대와 지지를 호소했다.

한편, 이번 기자회견은 수도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이터센터 개발 갈등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 역시 수도권 내 신규 데이터센터 허가에 대해 제동을 거는 추세지만, 기흥동 사례처럼 기존 개발 허가를 우회해 추진되는 방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용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