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박물관 특별전,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독립운동을 조명하는 특별전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포스터
독립운동을 조명하는 특별전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 포스터

경기도박물관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위창 오세창(1864-1953)의 삶과 예술, 독립운동을 조명하는 특별전 《오세창: 무궁화의 땅에서》를 연다. 이 전시는 2025년 11월 27일부터 2026년 3월 8일까지 경기도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오세창은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까지 격동의 시대를 살아낸 인물로, 개화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서화가이자 수장가, 언론인이자 예술인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한국 근현대 문화의 주춧돌을 놓았다. '문화보국(文化保國)'은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로, 전통이 위기에 처했던 시대에 문화를 수집하고 보존하며 민족 정체성을 지키려 했다.

​근역서휘 중 강감찬이 쓴 씨​
​근역서휘 중 강감찬이 쓴 시

이번 전시는 오세창이 수집하고 편찬한 『근묵』, 『근역서휘』, 『근역화휘』 등에 실린 강감찬, 김정희, 신사임당, 정약용, 한석봉 등 역사적 인물들의 글과 글씨 90여 점을 선보인다. 간송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문화기관에서 대여한 유물들을 한자리에 모았다.

간송 전형필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보화각 현판
간송 전형필과의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는 보화각 현판

전시는 총 4부로 구성된다. 1부 '개화와 독립 – 역매 · 위창의 시대'에서는 오세창과 그의 아버지 오경석의 삶을 통해 근대 전환기의 시대상을 조명한다. 2부 '형태로 새긴 의미 – 금문 탐구와 전각 예술'에서는 그가 깊이 연구한 금문과 전각 예술을 살펴본다. 3부 '수장의 길 – 문화 독립을 향하여'에서는 오세창이 평생 수집하고 편찬한 고서화와 금석 자료를 소개한다. 4부 '붓끝으로 시대를 견디다 – 오세창의 글씨와 동시대 예술'에서는 서예가로서의 그의 면모와 동시대 예술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문화적 저항의 흔적을 찾아본다.

오세창의 글씨와 이당 김은호의 그림, 최초공개 유물
오세창의 글씨와 이당 김은호의 그림, 최초공개 유물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이당 김은호의 그림과 오세창의 글씨가 어우러진 대련(2폭 병풍)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 말기의 복잡한 시대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정윤회 선임학예사는 "이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오세창의 문화보국 정신과 우리 전통문화의 맥을 느끼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용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