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계현은 1969년 주간경향에서 주최한 ‘전국 아마추어 포크 콘테스트’에서 대상을 받고 당시 기자인 서병후의 소개로 1970년 록그룹 키브라더스에 들어가 서울 회현동의 오리엔탈 호텔 나이트클럽 ‘닐바나’등에서 활동했다. 이때 만난 다른 밴드의 리더인 드러머 유상봉의 제안으로 포크록에 기반을 둔 감성적인 록 밴드 <템페스트(Tempest)>를 결성했다. 템페스트란 팀명은 서병후기자가 지어주었는데 ‘돌풍’이란 뜻이다.

템페스트 힛트곡 1집 앨범 LP 앞면 ⓒ조대안 
템페스트 힛트곡 1집 앨범 LP 앞면 ⓒ조대안 

템페스트는 1971년 서울 마장동 스튜디오에서 창작곡과 번안곡들을 단 하루동안 녹음해 데뷔앨범 <템페스트 힛트곡 제1집>를 발표했다. 성음제작소에서 발매한 이 앨범은 폐목재가 잔뜩 쌓여있는 공사장에서 찍은 멤버 5명의 사진이 커버에 있어 소위 ‘공사장재킷’으로 불리는데 록 마니아들에게 유명한 앨범이다. 리더 유상봉의 화려한 드럼과 타악기 연주를 비롯한 멤버들의 탄탄한 연주실력과 경쾌한 하모니가 빚어낸 이 앨범은 대중적인 노래들로 꾸며졌지만 홍보부족으로 히트곡이 나오지는 못했기 때문에 개체수가 드물어 희귀하다. 템페스트는 이 앨범 발표 후에는 닐바나 뿐만 아니라 풍전, 타워, 센트럴 등 고고클럽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순식간에 섭외 1순위 ‘고고클럽의 왕자’로 확고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 음반에서 가장 크게 부각되는 것은 장계현의 보컬이다. 비음이 섞인 그의 개성있는 목소리는 「나의 여인(Sweet Caroline)」, 「편지(Words)」나 「홀리 홀리(Holly Holy)」 같은 포크나 컨트리 계열의 잔잔한 팝송의 번안곡 뿐만 아니라 「내 사랑」과 「겨울이 지나면」 같은 슬로우 록 리듬의 창작곡에도 잘 어울린다.

템페스트 힛트곡 1집 앨범 LP 뒷면 ⓒ조대안 
템페스트 힛트곡 1집 앨범 LP 뒷면 ⓒ조대안 

1면의 2번 트랙인 「기다리는 마음」은 크리스 크리스토퍼슨(Kris Kristofferson)의 「Help Me Make It Through The Night의 번안곡으로 보컬은 김영무가 맡았다. 세 번째 트랙인 「나의 여인(Sweet Caroline)」은 원곡을 부른 닐 다이아몬드(Neil Diamond)에 비해 훨씬 시끄러운 편이다. 싸이키델릭 록에서 즐겨 사용하는 톤의 오르간 소리가 등장하고, 원곡보다 저음이 많이 약해서 잔잔함과는 거리가 멀다. 다음 트랙인 폴 리비어 앤 더 레이더스(Paul Revere & the Raiders)의 「Indian Reservation」를 번안한 「떠나간 사람」은 원곡에 충실하게 긴박한 사운드를 구사하고 김영무가 리드 보컬을 맡았다. 후렴구에서 한 마디마다 나오는 드럼 필인(fill-in)은 당시의 드러머라면 한번쯤 두들겨대고 스트레스를 날려버리는 레퍼토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리듬감은 2면의 두 번째 트랙인 플리트우드 맥(Fleetwood Mac)의 「Black Magic Woman」곡을 번안한 「신비의 여인」에서 절정을 이룬다. 그때 그 시절의 오르간 톤이 울려 퍼지면서 한 마디를 십수개의 음표로 쪼갠 드럼 연주와 그루브한 베이스 라인, 이제까지 없었던 기타 솔로, 그리고 마지막 약 2분 동안의 드럼의 난타 등은 5분 20초 동안 전개된다. 그룹의 리더인 유상봉(드럼)은 물론 김영무(베이스, 보컬)와 성정민(리드 기타)의 취향을 반영된 템페스트의 실력이 십분 발휘된 곡으로 이 앨범의 백미다.

1면의 「내사랑」이나 2면의 「님에게」는 창작곡으로 그리 성공적이지 않았다. 마지막 트랙인 「아담한 그 다방」에서는 뜻밖에 1960년대 가요풍의 리듬과 멜로디가 등장한다.

장계현과 유상봉의 만남이 완벽하게 어울리는 조합을 이루지는 못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흠잡을 곳이 많은 음반도 아니다. 템페스트만큼 고고클럽에서 환영받는 그룹도 없었다는 이야기는 이렇게 ‘멜로디와 리듬 모두 강하다’는 특징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템페스트 힛트곡 제1집 앨범 전곡

 


 조대안 음반수집 연구가
 조대안 음반수집 연구가

 

저작권자 © 용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