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8곳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소공인 집적지구 위치
[경인신문 최철호 기자] 경기도는 화성시 향남읍·팔탄·정남면, 성남시 상대원1동, 안양시 관양동 등 3개소가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경기도에는 2017년에 이미 시흥 대야·신천, 용인 영덕, 양주 남면, 지난해 지정된 군포 군포1동, 포천 가산면이 도시형 집적지구로 선정된 바 있으며, 이번에 3개소가 추가돼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소공인 집적지구가 위치하게 됐다.
소공인 집적지구란 한 지역에 같은 업종이 법에서 정한 기준 이상 모여있는 곳을 뜻한다. 여기에 '도시형'이라는 말이 붙은 이유는 업종의 형태가 도시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는 업종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정한다.
![]() ▲ 경기도청 전경 © 경인신문 |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되면, 국비 15억 원 내로 지원과 마케팅 및 기술개발 등 소공인 지원사업 공모 시 가점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우선 화성시 향남읍·팔탄·정남면 기계장비 집적지구는 국비 15억 원과 도비 3억 원, 시비 9억 원 총 27억 원을 투자해 공동장비실, 교육장, 공동 물류창고, 회의실 등 공동기반시설을 구축한다.
또 성남시 상대원 식품제조 집적지구는 국비 12억 원과 도비 3억 원, 시비 18억 원 총 33억 원을 투자해 이화학 분석장비, 식미생물 검사장비, 쿠킹스튜디오 장비 등 공동기반시설을 구축한다.
또한 ‘안양시 관양동 전자부품 집적지구’는 국비 12억 원과 도비 2억 원, 시비 8억 원 총 22억 원을 투자해 공용 작업·연구장비실, 교육장 등 공동기반 시설을 구축한다.
오후석 경기도 경제실장은 “소공인은 지역산업 성장의 중요한 기반"이라며, “경기도는 도시형소공인을 위해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