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지원, 인식개선, 취업역량강화, 상담 및 사례관리 등을 통한 안정적 정착 지원
[경인신문 최철호 기자] 경기도내에는 2019년 9월말 현재 북한이탈주민이 1만여 명 이상이다.
남한 전체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3만3,022명에 이르고, 경기도에는 1만33명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에 30% 이상의 북이탈주민이 경기도에 살고 있다고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은 수이다.
![]() ▲ 경기도청 전경 ©경인신문 |
이렇게 도내 북한이탈주민이 늘어남에 따라 경기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확대·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도는 2008년 전국 최초로 북한이탈주민 출신 공무원 채용을 시작해 현재 61명이 근무 중이며, 2009년 1월부터 지자체 최초로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전담팀을 설치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평화시대를 대비해 도비 8억5,000만 원, 국비 19억4,400만 원 등 총 27억9,400만 원의 예산을 편성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지원 인식개선, 취업역량 강화, 상담 및 사례관리 등 4개 분야 11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도는 향후에도 통일부 및 하나센터 등 민-관 협업을 통해 경제적 곤란이나 질병, 사회·심리적 고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북한이탈주민을 적극 발굴해 지원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도 평화기반조성과 정착지원팀 담당자는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사회 안정적 정착을 돕기 위해서 정책을 실시했다"며, "내년에 좀더 예산을 확보하여 확대 시행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경기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내년에는 올해보다 4억2,800만 원이 더 늘어난 32억2,200만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북한이탈주민 지원·보호 정책을 더욱 강화해 실시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