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환 시인
유치환 시인

청마靑馬 유치환은 1908년 통영의 태평동에서 한의였던 유준수의 8 남매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장남인 형이 극작가인 동랑 유치진이다. 그는 외가에서 태어나 11세까지 서당을 다니며 한문을 배웠다. 어린 시절의 그는 말이 없는 소년이었다. 통영보통학교 4년을 마치고, 일본 도요야마중학교(豊山中學校)를 다닐 때 그는 일본인 친구를 사귀는 대신에 혼자 책을 읽고 쓰는 일에 열중했다. 관동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잔학한 일본인에게 무고한 한국인들이 무참하게 학살되는 것을 목격했다. 부친의 사업이 기울어 귀국하고 연희전문을 다니다가 퇴폐적인 분위기에 불만을 품고 1년 만에 중퇴했다. 당시 시단을 풍미하던 일본의 무정부주의자들과 정지용(鄭芝溶)의 시에 감동하여 형 유치진과 함께 회람잡지 《소제부(掃除夫)》를 만들어 시를 발표하였다.

청마는 1931년 《문예월간文藝月刊》에 시 〈정적靜寂〉을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그 뒤 평양에서 사진관을 경영했고 부산에서는 부산화신연쇄점에 근무한다, 1937년 부산에서 문예동인지 《생리(生理)》를 주재하여 5집까지 간행하고, 1939년 첫 시집 《청마시초靑馬詩抄》를 발간하였다. 여기에 초기의 대표작인 〈깃발〉 · 〈그리움〉 · 〈일월〉 등 55편이 수록되었다. 청마 유치환이 농장을 경영하겠다고 가족과 함께 하얼빈에서도 마차로 하루 길을 더 들어가야 하는 만주 연수현(煙首縣)으로 이주한 것은 1940년이다.그곳에 동랑 유치진이 개간한 땅이 있었는데, 청마는 이를 관리하고 개발하는 일을 했다. 해방 직전에 돌연 귀국하여 고향 통영으로 향했다. 이때 만주의 황량한 광야를 배경으로 한 허무의식과 가열찬 생의 의지를 쓴 시 〈절도絶島〉 · 〈수首〉 · 〈절명지絶命地〉 등이 제2시집 《생명의 서》에 수록되었다. 광복 후에는 청년 문학가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민족문학운동을 전개하였고, 6 · 25 동란중에는 문총구국대(文總救國隊)의 일원으로 보병3사단에 종군하면서 시집 《보병과 더불어》를 출간한다.

1953년부터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 이후에는 줄곧 교직에 몸담았다. 안의중학교 교장을 시작으로 하여 경주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를 거치며 학생들의 단단한 신임과 함께 인기가 높았던 교장이었다. 안타깝게도 부산남여자 상업고등학교 재직중이던 1967년 2월 13일 집으로 돌아가다가 시내버스에 치여 세상을 떴다. 시인은 살아있는 동안 많은 여인을 연모했고, 그 절절한 연정이 이 모든 한국인에게 길이 기억될 아름다운 시를 낳게 되었다.

오늘도 나는 / 에메랄드빛 하늘이 환히 내다 뵈는 / 우체국 창문 앞에 와서 너에게 편지를 쓴다. // 행길을 향한 문으로 숫한 사람들이 / 제각기 한가지씩 생각에 족한 얼굴로 와선 / 총총히 우표를 사고 전봇지를 받고 / 먼 고향으로 또는 그리운 사람께로 / 슬프고 즐겁고 다정한 사연들을 보내나니 // 세상의 고달픈 바람결에 시달리고 나부끼어 / 더욱더 의지 삼고 피어 흥클어진 인정의 꽃밭에서 / 너와 나의 애틋한 연분도 / 한망울 연연한 진홍빛 양귀비꽃인지도 모른다. // - 사랑하는 것은 /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쓰느니 / -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을 노래한 청마 유치환은 깃발의 시인으로 기억된다. 40여년에 걸친 그의 시 작품은 한결같이 남성적 어조로 준열한 삶의 의지 등을 노래하고 있다. 그의 시세계를 '생명에의 의지', '허무의 의지', '비정의 철학', '신채호적(申采湖的)인 선비기질의 시인'으로 평가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유치환,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초간본 표지 ⓒ조대안
유치환,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초간본 판권지 ⓒ조대안
유치환,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초간본 판권지 ⓒ조대안

그리움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임은 뭍같이 까딱 않는데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
날 어쩌란 말이냐

파도가 아무리 거세게 휘몰아쳐도 뭍은 끄덕도 하지 않는다. 파도처럼 끊임없이 달려가 부서지는 내 사랑에도 연인은 한 치의 흔들림도 없이 그 자리에 있다. 연모하는 사람을 바라보기만 해야 하는 절망이 ‘날 어쩌란 말이냐’라는 시인의 비명으로 들려오는 듯하다.

유치환은 살아있는 동안 많은 여인을 연모했으며 그 연모의 과정에서 절창의 시편들을 길어냈다. 청마의 가장 잘 알려진 연모의 상대는 시조시인 ‘이영도’다. 1946년 해방 후 최초의 시동인지인 <죽순>을 내며 동인을 통해 당시 통영여중 교사였던 이영도를 처음 만난다. 결핵으로 남편을 잃고 혼자 딸을 키우고 있던 그녀에게 청마는 숱하게 편지를 보내고 많은 사랑의 시를 썼다. 하지만, 아내가 있는 유치환에게는 애당초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었다.

‘사랑하였으므로 진정 행복하였네라’고 노래한 시 「행복」과 함께, 이 ‘파도야 어쩌란 말이냐’라는 시 「그리움」에도 그녀를 향한 가슴 저미는 사랑의 고통이 절절하게 그려진다.

1947년부터 교통사고로 죽는 59세까지 청마는 20년 동안 이영도에게 편지를 썼다.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 빼고도 5,000여 통이었다. 이영도는 이 편지 중 200통을 추려 1967년에 『사랑했으므로 행복하였네라』를 출간했다.

 


 조대안
 조대안

단국대학교 경영학 석사
필리핀국제문화대학 명예 철학박사
칼빈대학교 명예인문학박사
한국고승유묵연구소장
중광미술연구소장
용인한국근대문학관 건립위원장

저작권자 © 용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