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9년 한성도서주식회사 간행, 항일 문학작품의 뿌리!

 심훈(1901~1936) 소설가 시인 ⓒ저자 미상
 심훈(1901~1936) 소설가 시인 ⓒ저자 미상

시인 · 영화인 · 소설가인 심훈은 1901년 서울 노량진에서 태어났다.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학생이었던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는 민중대회에 참여하였고, 이어 3월 5일 서울에서 각급 학생들을 중심으로 전개된 최대의 시위운동인 남대문역(서울역) 만세 시위운동에도 참여하였다가 일경에게 체포되어 8개월형을 받았다. 출옥하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북경에서 단재 신채호와 우당 이회영 등 독립운동가들을 만나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일제와 어떠한 형태의 타협도 거부하는 절대독립론과 독립운동의 방법으로 무장투쟁론을 주장하는 이들의 사상은 민족독립을 부르짖는 심훈의 항일 문학작품의 뿌리가 된다.

1923년 중국에서 귀국하여 신극연구단체인 극문회(劇文會)를 조직했다. 조일제(趙一薺) 번안의 영화 〈장한몽(長恨夢)〉에 이수일(李守一)역으로 출연하였고, 1926년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소설 〈탈춤〉을 《동아일보》에 연재하기도 하는 등 영화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이듬해 일본에서 본격적인 영화수업을 받은 뒤 귀국하여 영화 「먼동이 틀 때」를 원작집필·각색·감독으로 제작하여 단성사에서 개봉하였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식민지 현실을 다루었던 이 영화는 「어둠에서 어둠으로」라는 제목이 일제의 방해로 말썽을 빚자 개작한 작품이다.

영화 「먼동이 틀 때」가 성공하고 난 후, 그의 관심은 소설이 되었다. 1930년『조선일보』에 장편 「동방(東方)의 애인(愛人)」을 연재하다가 검열에 걸려 중단했고, 이어 「불사조(不死鳥)」 연재도 중단된다. 이 두 작품에는 강한 민족의식이 담겨 있기 때문이었다. 같은 해 발표한 시 「그날이 오면」은 1932년에 시집 『그날이 오면』으로 출간하려 했지만 일제의 검열로 무산되었다가 그의 사후인 1949년이 되어서야 유고집으로 출간되었다.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자 신문사를 그만두고 당진으로 낙향하여 장편 「영원(永遠)의 미소(微笑)」와 「직녀성(織女星)」을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에 연재하였다.

당진에 손수 지은 집 필경사(筆耕舍)에서 집필한 「상록수(常綠樹)」는 1935년 『동아일보』 창간15주년 기념 장편소설 특별공모에 당선, 연재되어 당시 민중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다음해 심훈은 <상록수>를 영화로 만들기 위해, 직접 각색․감독을 맡기로 하고 제작사까지 선정하여 준비를 완료했지만 일제의 방해로 성공하지 못했다. 이에 <상록수>를 단행본으로 출판하기 위해 한성도서주식회사 2층에서 침식하며 간행 작업에 온 힘을 다 하다가 장티푸스에 걸려, 1936년 9월 16일 오전 8시,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에서 36세의 아까운 나이로 눈을 감았다.

심훈, 그날이 오면 초간본 ⓒ용인일보
심훈, 그날이 오면 초간본 ⓒ용인일보
심훈, 그날이 오면 판권지 ⓒ용인일보
심훈, 그날이 오면 판권지 ⓒ용인일보

<작품 소개> 1949년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서 간행된 심훈(沈熏)의 작품집이자 시제명(詩題名)이다. 이 책을 주선하여 발간하게 한 둘째형 설송(雪松)의 발간사와 1932년 9월 당진에서 쓴 저자의 머리말이 있고, 본문과 목차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이 작품집은 심훈이 1932년에 그 동안 발표한 시들을 묶어 발간하려고 하였으나 조선총독부의 검열로 빛을 보지 못하고 그가 죽은 뒤인 1949년에 간행되어 유고집이 되고 말았다.

본문에는 3 · 1운동에 가담하다 붙잡혀 서대문형무소에 있을 때 어머니에게 쓴 〈감옥에서 어머님께 올린 글월〉을 필두로, 서시(序詩)로서 〈밤〉, '봄의 서곡'편에 〈봄의 서곡〉 〈피리〉 〈봄비〉 〈거리의 봄〉 등 13편이 들어있고, '그날이 오면'편에 〈그날이 오면〉 〈통곡속에서〉 〈생명(生命)의 한토막〉등 8편, '짝잃은 기러기'편에 〈짝잃은 기러기〉 〈고독〉 〈한강의 달밤〉 등 13편, '태양의 임종'편에 〈태양의 임종〉 〈마음의 낙인(烙印)〉 〈토막생각〉 〈어린 것에게〉등 8편, '거국(去國)'편에 〈잘 있거라 나의 서울이여〉 〈현해탄〉 등 7편, '항주유기(杭州遊記)'편에 산문 〈향주유기〉 〈평호추월(平湖秋月)〉 〈삼담인월(三漂印月)〉 등 시조 10편, 〈전당강상(錢塘江上)〉 〈겨울밤에 내리는 비〉 등 자유시 4편, '수필'편에 〈조선의 영웅〉등 5편. '절필(絶筆)'편에 〈오오, 조선의 남아(男兒)여〉등 자유시 47편, 시조 10편, 산문 7편이 수록되어 있다.

심훈은 본문에서 이렇게 밝힌다.

“나는 쓰기를 위해서 시를 써본 적이 없습니다. 더구나 시인이 되려는 생각도 해보지 아니하였습니다. 다만 닫다가 미칠 듯이 파도치는 정열에 마음이 부다끼면 죄수가 손톱 끝으로 감방의 벽을 긁어 낙서하듯 한 것이 그럭저럭 근 백수(百首)(흰머리가 됨)나 되기에 한곳에 묶어보다가 이 보잘 것 없는 시가집이 이루어진 것입니다.”

표제시 〈그날이 오면〉은 1930년 3 · 1절을 맞이하여 1919년 3 · 1운동에 참여했던 당시의 감격을 되살리면서, 광복된 조국의 그날을 열정적으로 노래한 일제치하의 대표적인 저항시 중의 하나이다. 모두 2연으로 각 연은 8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광복의 그날이 왔을 때를 상상하여 터져나올 민족적 환희를 격한 몸짓으로 나타내며 광복에 대한 시인의 간절한 의지와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며는 /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주기만 하량이면, /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같이 / 종로의 인경[人定]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 나도 /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이 남으오리까 / 그날이 와서 오오 그날이 와서 /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고 뒹굴어도 /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 커다란 북을 만들어 둘쳐메고는 / 여러분의 행렬에 앞장을 서오리다. / 우렁찬 그 소리를 한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이 시는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은 작품으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C. M. 바우라 교수는 『시와 정치』에서 심훈의 「그날이 오면」을 두고 세계 저항시의 본보기라는 극찬을 했다.

저작권자 © 용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